본문 바로가기

자기계발

[패스트캠퍼스]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7일차_220130

패스트캠퍼스 챌린지 7일차 - 한 번에 끝내는 주식 투자의 모든 것 초격차 패키지 Online.

 

- 학습 후기

챌린지 7일 차에서는 부채비율, 당좌비율, 유보율의 개념과 투자전략에 대해서 학습하였다.

오늘 학습한 개념은 이전 내용들 대비 조금 생소하였는데, 그래서인지 강의시간이 더 길게 느껴졌다..

 

[오늘 학습한 개념]

4단계 3년간 부채비율, 당좌비율, 유보율을 보자

1. 안정성 비율 중심 체크 

재무비율은 안정성/수익성/성장성 비율 등 여러 가지 등 있음

망하는 회사를 피하기 위해 안정성 비율 집중 확인

 

* 부채비율 = 부채총액/자기 자본 - 남의 돈의 비율이 100% 이하인 우량한 기업을 선택하자는 측면

- 부채 높으면 부실 회사, 부채비율은 낮을수록 좋음(100% 이하 좋음, 200% 초과는 주의)

- 부채비율이 높으면 이자 내기 벅참

- 당기순손실 증가는 현금 부족, 부채비율 증가

 

- 주식관련사채도 부채

- 이자보상비율 : 영업이익/이자비율 -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갚을 수 있는지 확인

- 증권사 및 은행 등은 부채비율이 상당히 높음(고객의 예탁금, 예금)

  은행은 BIS비율, 증권사는 NCR 등 재무기준 존재

 

* 당좌비율 = 당좌자산/유동부채

- 단기지급능력 측정 지표 (화폐적 성격인 당좌자산과 비교, 바로 지불능력)

- 당좌비율이 낮다면 회사에 현금성 자산이 없는 것. 운영비나 채무를 갚을 능력이 없을 수 있음

100% 이상  (당좌자산 > 유동부채 ) 높을수록 좋음 -> 초보라면 당좌비율 100% 이상 투자

100% 이하 운영자금 부족, 유상증자 우려

 

- 유동자산 : 1년 내 현금화 가능 자산 <-> 비유동자산

  1) 당좌자산 : 판매과정 없이 현금화 가능(현금, 예금, 외상매출금)

  2) 재고자산 : 판매과정을 거쳐야 현금화 가능

- 유동비율 = 유동자산/유동부채  - 재고자산을 포함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현금흐름 파악 어려움

- 유동부채 : 1년 내 갚을 외상매입금, 단기 차입금 

 

* 사내 유보율 = (자본, 이익) 잉여금/(납입) 자본금

 

- 잉여금(남는 둥) : 자본잉여금, 이익잉여금

- 유보율이 높을수록 잉여금이 많으니 좋음

- 외부자금조달 가능성도 적고 무상증자 가능성 높음 (무상증자 재원 : 이익을 내고 남은 잉여금)

  고배당 혹은 자사주 매입자금으로 활용 가능 (투자자에게 손 벌 일일 감소) 

 

2. 유상증자, 주식 관련 사채 발행 회피 위해 

- 3년간 부채비율, 당좌비율 체크

 

3. 무상증자 가능성 체크 위해 유보율 확인

- 잉여금이 많이 남으면, 무상증자 가능성

 

* 유무상증자 판단기준

부채비율 높고, 당좌비율이 낮으면 자금부족, 유상증자 가능성

부채비율이 낮고, 당좌비율이 높으면 일시적인 당기순손실이지만 회사 운영 단기적 안정세

유보율이 높다면 무상증자 가능성

 

[수강 인증]

 

.

 

 

 

 

#패스트캠퍼스 #패캠챌린지 #직장인인강 #직장인자기계발 #패스트캠퍼스후기 

#한번에끝내는주식투자의모든것초격차패키지Online

 

https://bit.ly/37BpXiC

 

패스트캠퍼스 [직장인 실무교육]

프로그래밍, 영상편집, UX/UI, 마케팅, 데이터 분석, 엑셀강의, The RED, 국비지원, 기업교육, 서비스 제공.

fastcampus.co.kr

 

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.